국토교통부 청년 월세지원 신청조건, 금액, 절차까지 상세 정리했습니다.
청년 월세지원금 총 240만원을 원하시면 예산 소진 전 빨리 신청하세요.
지원대상
만 19세부터 34세까지의 청년 1인가구
본인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2025년 기준 약 125만원)
다만 부모를 포함한 가구원 합산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2025년 약 208만원)여야 하며,
부모와 주소지가 달라야 독립가구로 인정
지원내용
월 최대 20만원 현금 지급
지원 기간 최대 12개월
예를 들어 월세가 40만원인 경우 20만원을 지원받고 본인이 20만원을 부담
월세가 20만원 이하라면 전액을 지원
보증금 5천만원 이하, 월세 60만원 이하의 주택 거주가 필수 조건
신청방법
1. 온라인 신청: 복지로 또는 지자체 복지포털 접속
2. 서류 제출: 주민등록등본, 임대차계약서, 소득증빙자료(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소득금액증명원 등), 금융정보제공동의서
3. 심사 및 선정: 지자체에서 자격 심사 후 개별 통보
4. 지원금 지급: 매달 지정 계좌로 현금 지급
주의사항
주의할 점은 신청 기간입니다.
2025년 현재, 지자체별 신청 접수 기간이 상이하며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으므로
공고 즉시 신청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신청 시 부모님과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같다면 독립가구로 인정되지 않아 탈락될 수 있으므로,
미리 주소 이전을 완료하시길 권장드립니다.
국토교통부 청년 월세지원 사업의 장점은 현금으로 지급된다는 점입니다.
기존 주거급여와 달리 임대인 계좌가 아닌 신청자 본인 계좌로 지급되기에,
월세 부담을 실제로 체감할 수 있다는 피드백이 많습니다.
특히 서울, 경기 등 월세가 높은 지역 청년들에게는 필수적인 제도라 할 수 있습니다.
중복 여부 확인
또한 타 지원사업과 중복 가능 여부도 확인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지자체 청년수당, 청년 교통비지원, 청년 문화바우처 등은 중복수급 가능하나,
주거급여와는 일부 중복이 제한될 수 있으니
신청 전 복지로 상담센터(☎1566-0313)나 거주지 주민센터에 문의하세요.
최신 공고 확인
마지막으로, 매년 예산과 조건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최신 공고 확인이 필수입니다.
국토교통부, 정부24, 복지로, 각 지자체 복지포털에서 공고문과 자주 묻는 질문을 확인 후 신청 절차를 진행하세요.
국토교통부 청년 월세지원 사업은 청년 1인가구의 주거 안정을 넘어,
미래를 준비하는 발판이 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신청 조건을 확인하고,
월세 부담을 줄여 더 나은 내일을 준비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