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청약 가점 계산 기준과 점수 올리는 방법을 쉽게 확인하세요.
빠르게 청약 가점 계산을 원하시면 아래 버튼에서 확인하세요.
주택청약 가점 계산 방법 정리
주택청약 당첨의 핵심은 가점제입니다.
가점이 높을수록 경쟁에서 유리해지지만, 계산 방법을 정확히 모르면 당첨 가능성을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오늘은 2025년 기준 주택청약 가점 계산 방법과 점수 올리는 팁을 단계별로 정리해드립니다.
주택청약 가점제란?
가점제는 국민주택과 민영주택(전용 85㎡ 이하) 청약 시 적용되는 제도로, 무주택 기간, 부양가족 수, 청약통장 가입기간 3개 항목을 합산해 산정합니다.
✅ 총점 84점 만점
주택청약 가점 계산 공식
항목 | 배점 | 계산 기준 |
---|---|---|
무주택 기간 | 32점 | 만 30세 이후 무주택 기간 (1년당 2점, 최대 15년) |
부양가족 수 | 35점 | 본인 포함 1명=5점, 이후 1인당 5점 추가 (최대 35점) |
청약통장 가입기간 | 17점 | 6개월 미만=0점, 1년=2점, 15년 이상=17점 |
1. 무주택 기간 계산 (최대 32점)
- 만 30세 이상 무주택 기간 기준
- 결혼으로 세대주 분리 시, 혼인신고일 이후 기간 포함
- 1년당 2점씩 가산, 15년 이상은 32점 만점
무주택 기간 | 점수 |
---|---|
1년 | 2점 |
5년 | 10점 |
10년 | 20점 |
15년 이상 | 32점 |
2. 부양가족 수 계산 (최대 35점)
- 본인 외
배우자, 직계존속(부모·조부모), 직계비속(자녀·손자녀)
포함
- 3년 이상 동일 세대원으로 등재되어야 인정
- 본인 포함 1명=5점, 이후 1인당 5점 추가, 최대 35점
부양가족 수 | 점수 |
---|---|
없음 | 5점 |
1명 | 10점 |
2명 | 15점 |
3명 | 20점 |
4명 | 25점 |
5명 | 30점 |
6명 이상 | 35점 |
3. 청약통장 가입기간 계산 (최대 17점)
- 6개월 미만: 0점
- 1년: 2점
- 3년: 6점
- 5년: 10점
- 10년: 14점
- 15년 이상: 17점 (만점)
주택청약 가점 계산 예시
예를 들어,
- 무주택 기간 10년 → 20점
- 부양가족 3명 → 20점
- 청약통장 가입 7년 → 12점
✅ 총 가점 = 20 + 20 + 12 = 52점
최근 수도권 주요 단지 당첨 커트라인은 55~65점 수준으로, 본인의 가점을 계산해보고 목표 점수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청약 가점 올리는 팁
✅ 무주택 기간 관리 – 부동산 취득 전 전략적 판단
✅ 부양가족 수 증가 – 자녀 출생, 부모 부양 등
✅ 청약통장 유지기간 최대화 – 해지 시 초기화되므로 절대 주의
✅ 공급유형 확인 – 신혼부부, 생애최초 특별공급은 가점제와 별도
꼭 알아두세요
- 가점제는 85㎡ 이하 민영주택, 국민주택 청약에만 적용됩니다.
- 85㎡ 초과 민영주택은 50% 가점제, 50% 추첨제로 배정됩니다.
- 당첨 후 부적격 판정 시 1~3년 청약 제한이 있으므로, 계산 오류를 방지하세요.
주택청약 가점은 단기간에 올리기 어렵기 때문에, 미리 계산하고 전략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